안녕하세요!
ARTIST
정보수정요청
권용래
Kwon Yong rae
회화     |     한국
학력
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 1989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이력
Solo Exhibitions 2018 제18회 개인전 (안국약품 갤러리 초대, 서울) 2016 제17회 개인전 (금산갤러리 초대, 금산갤러리, 서울) 2011 제16회 개인전 (현대백화점 킨텍스점, 롯데호텔 갤러리, 헬리오아트 초대, 서울) 2006 제15회 개인전 (갤러리시몬 초대, 서울) 제14회 개인전 (KCAF, 예술의전당 미술관, 서울) 2004 제13회 개인전 서울아트페스티발 (예술의 전당 미술관, 서울) 2003 제12회 개인전 서울아트페스티발 (서울옥션아트센터 초대, 서울) 2002 제11회 개인전 (Asian Live Gallery 기획, 서울) 제10회 개인전 KCAF(예술의 전당 미술관 기획, 서울) 2001 제9회 개인전 (성곡미술관 기획초대, 서울) 2000 제8회 개인전 (갤러리시몬 초대, 청담미술제. 서울) 1998 제7회 개인전 (갤러리시몬 초대, 서울) 1997 제6회 개인전 (MANIF‘97기획, 예술의 전당, 서울) 1995 제5회 개인전 (갤러리시몬 초대, 서울) 1993 제4회 개인전 (이콘갤러리 기획, 서울) 1992 제3회 개인전 (인데코갤러리 초대, 서울) 1990 제2회 개인전 (소나무 갤러리, 송은문화재단후원) 제1회 개인전 (윤갤러리 기획, 서울) ​ GROUP Exhibitions 2021 Utopia:now hear, 갤러리 BK, 서울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샌프란시스코 2021 1st CAAF, 고양 스타필드, 고양 홍콩아트페어, 홍콩 블루 프리넷(2인전) , 대청호미술관, 청주 판교 아트, 현대백화점 판교점, 판교 2020 평화, 바람이 불다, 오두산 통일전망대, 파주 2020 BAMA, BEXCO, 부산 Asia Hotel Art Fair, NINE TREE Premier Hotel Insadong, Seoul Shine in the Light, 장생포 작은미술관, 울산 2020 AAF Brussels, Belgium 판교아트뮤지엄, 판교 화랑미술제, COEX, Seoul Palm Beach Art Fair, Palm Beach, USA 2019 Art Miami Miami, USA Blue, Choice Art Company, Seoul 아트 런던, 런던 Pantom City, Sehwa Museum of Art, Seoul 평화 꽃이피다, 통일전망대 전시관, 파주 Korean Art-a contemporary take on texture, Opera Gallery, Seoul Art New York, New York Hong Kong Central, Hong Kong High Light Artbank, 국립현대미술관 청주, 청주 2018 Seoul Art Show, COEX, Seoul Art Basel Miami 2018, Miami Chicago SOFA 2018, Navy Pier Chicago CONFLUENCE, Sylbia Wald & Po Kim gallery, 뉴욕 KIAF, (COEX, Seoul) 런던 햄스테드 AAF, 런던 홍콩 AAF, 홍콩 Affordable art fair Hampstead 2018, London 아트 뉴욕, 뉴욕 바젤 Scope, 바젤 스위스 화랑미술제 , COEX, Seoul Palm Beach Art Fair, Palm Beach, CA 부뤼셀 AAF , 부뤼셀, 스위스 런던 Battersea , 런던, 영국 2017 서울대학교 미술관 신소장품전, 서울대학교미술관, 서울 Art Miami, Maimi 로아갤러리 개관전, 로아갤러리, 서울 숲이 길이 되다, 서울대학교총동창회 장학빌딩, 서울 KIAF, 코엑스, 서울 Asia Contemporary Exhibition, Sylbia Wald & Po Kim gallery, New York 첫 번째 질문 4인전, Artbit Gallery, 서울 Art Aspen , Aspen, U.S.A Art FOMOSA (Songshan Cultural and Creative Park. Taiwan) 2016 화랑미술제 (코엑스 C관, 서울) ART TAIPEI. Taipei Context Miami, Miami Art Kaohsiung, Kaohsiung 서울대학교 개교 70주년 특별전, 서울대학교총동창회관, 서울 헌정-기리며 그리다, 학고재 갤러리, 서울 Gallery Weekend Korea 2016, Art Space at Interpark Theater, Seoul 화랑미술제, 코엑스 C관, 서울) 2015 스푼아트페어 (홍익대학교 홍문관, 서울) 아트칼슈르에 ( 칼슈르에, 독일) 모던프러스 (모던프러스갤러리, 일산) 시카고아트페어 (시카고, 미국) Palm Beach Art Fair (Palm Beach, USA) 싱가폴 어포터블 아트페어 (F1 빌딩,싱가폴) 햄튼아트페어 / 사우스햄튼 아트페어 (햄튼/사우스햄튼 ,미국) Artspaceben Spring Art Show (아트스페이스벤, 서울) Art & Life (아트스페이스벤, 서울) Art Kaohsiung (카오슝, 대만) 2014 10th GIAF (세종문화회관 전시관, 서울) KIAF (COEX, 서울) Miami Art Fair (Miami, USA) Palm Beach Art Fair (Palm Beach, USA) Toronto Art Fair (Toronto, Canada) 2013 Red Gate전 (갤러리 호감, 서울) 2012 Korean Contempory Artist 20 (청심문화센타, 가평) Realistic & Reality (통인옥션갤러리) 달-심중월 (슈페어리어 갤러리, 서울) 2011 오늘의 아시아 미술 (전북 도립미술관) 제26회 아시아 국제미술전시회 (예술의 전당 한가림미술관, 서울) 2009 2009 GIAF (세종센터, 서울) The first gallery in china (Beijing, china) 아시아 국제미술제 (The University City Art Museum (Guangzhou, China) 성남 국제 인큐베이팅 아트쇼 (성남아트센터 미술관 본관) 2009 홍콩아트페어 (홍콩 컨벤션센터, 홍콩) Insa art form 한국미술_내일의 기억 展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 서울) 2008 2008 KIAF (코엑스, 서울) 2008 GIAF (세종센터, 서울) 더 바자전 (갤러리 정미소, 서울) 2008 홍콩아트페어 (홍콩 컨벤션센터, 홍콩) Meta-Reality (갤러리 유로, 서울) 서울 열린미술 대축제-국제전 (서울시립미술관 별관, 서울) ‘삶에 난 구멍’ 위로 날기 (동덕 아트갤러리 , 서울) 개관 14주년 기념전 시몬의 여섯 친구(갤러리 시몬, 서울) 2007 2007 GIAF (세종센터, 서울) 아트프러스19(갤러리 라메르 초대) 시몬의 여섯친구 (갤러리 시몬, 서울) 2006 서울대 60주년 기념전 (서울대 박물관, 서울) 2005 한국미술, 조형의 모델전(아카갤러리, 서울) 참 우정의 형태전 (서울세종문화회관) From Now (갤러리 하미강) 시몬의 다섯 친구 (시몬갤러리) 2004 재미있는 반복 (인사이드센타, 서울) 개관기념 정예작가 초대전 (갤러리 한, 서울) 동아미술제 수상작가전 (갤러리 상, 서울) 2004 동아미술제 미술동우회 초대전 (국림현대미술관, 과천) Art On Line 2004 WWW. SNUART.COM 2003 Mix & Match (경기문화재단전시실, 수원) 창작미술협회전 (문예진흥원 미술관, 서울) 현대미술의 여유와 미 (현대미술관, 울산) 2002 동아미술제 동우회 초대전 (중앙일보사, 서울) 창작미술협회전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 서울) 아시아 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서울) 2001 Muse de Seoul (서울미술관) 한국종합예술학교 교강사전 (크누와 갤러리) 입체 속의 입체 (가나 포럼 스페이스, 서울) 미술의 회복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0 서울대학교와 새천년 (서울시립 미술관, 서울) 송은 1주기 추모전 (삼탄갤러리,서울) 청담미술제 (시몬갤러리, 서울) 창작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1999 동아미술제 제20주년기념 수상작가 초대전 아! 대한민국 1999 (갤러리상,서울) 창작미술협회전 (문예진흥원미술회관,서울) 아시아국제 미술제 (Fukuoka Asian Art Center,후쿠오카,일본) 1998 제13회 아주국제미술전람회 (쿠알라룸푸르,말레이지아) 창작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교수초빙전 (서울신문사,서울) 1997 레알리떼 서울 (공평아트센타) 창작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제12호 아주국제미술전람회 (마카오) 추상이후의 추상전 (갤러리우덕) 1996 일상의 전개-평면의 메시지(공평아트센타,서울) 창작미술협회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의 바람전 (인데코갤러리) 1995 권여현,권용래,조명식전 (시몬갤러리,서울) 서울의 바람전 (인데코 갤러리,서울) 1994 서울의 바람전 (인데코 갤러리,서울) 1993 석사학위 작품전 (서울대문화관) 이콘청년작가전 (이콘갤러리, 서울) 1992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국립현대미술관) 레알리떼 서울 (이콘갤러리,덕원미술관 공동기획) 1991 오늘의 한국회화전 (워커힐 미술관) 청년세계 ‘91 단면전 (백송화랑기획) 레알리떼 서울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관) 1990 발상의 전환 - 밀물썰물전 (소나무갤러리 기획,서울) 인사이트 ‘82전 (관훈미술관, 서울) 현대한국회화전 (호암갤러리, 서울) 1989-90 ‘89 한국현대회화의 “오늘” (로호갤러리,서독,베를린/산투스야노스박물관 , 헝가리, 기욜) 1990 레알리떼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 서울) Drawing의 지평선 (관훈미술관, 서울) ‘90현대조형전’ (관훈미술관,서울) 동아미술제특선 (국립현대미술관) 신세대전 (관훈미술관,서울) 중앙미술대전 (호암아트홀,서울) 1989 Drawing의 지평전 (관훈 미술관, 서울) 신세대의 단면전 (한국갤러리 기획, 서울) 신세대전 (관훈미술관, 서울) ‘89향방전 (윤 갤러리기획, 서울) 제4회 로고스의 파트스전 (관훈미술관기획, 서울) 제1회 전.전.전 (동덕미술관, 서울) 1988 중앙미술대전 (호암아트홀, 서울) ​
수상경력
1992 동아미술제 동아미술상 1982 중앙미술대전 장려상 ​
권용래 작가는 스테인리스라는 독특한 재료를 활용하여 빛의 물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 그의 작품은 '빛 그 자체가 재료이자 작품'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스테인리스의 반사성과 투과성을 이용해 시각적 깊이와 입체감을 구현한다. 제작 과정에서 스테인리스를 변형시키고 용접하는 방식으로 조형성을 극대화하며, 빛을 표면에 반사시켜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을 표현한다. 이러한 기법은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넘나들며, 고정된 이미지가 아닌 빛과 공간에 따라 달라지는 유동적인 형태를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베이징 뮤지엄, 홍콩 미술관 등 국내외 주요 미술기관 및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으며, 현대 미술에서 빛을 활용한 조형 실험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작가노트: 어둑한 작업실의 한 구석에서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광선이 사물을 비추는 순간, 17세기 화가 렘브란트는 그윽한 존재감에 몸부림 쳤을 것이다. 기원전 15000전 알타미라나 라스코의 동굴에 비친 희미한 광선으로부터, 빛이 너무 좋아서 이젤을 들고 저 찬란한 태양빛 속으로 뛰어 나갔던 모네, 이글거리는 대지며 밤하늘의 별들, 해바라기와 들판의 향나무, 자신의 얼굴조차 불꽃으로 일렁이게 했던 고흐를 지나 현재에 이르는 미술은 빛의 역사가 아니었는가? 나의 작품은 빛이다. 작품을 완성하기 위해 빛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라 빛 그 자체가 재료이자 기법이며 표현이다. 빛을 그려내는 것이 아니라 빛이 머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간은 하나의 빛이다. 그들의 문화도, 그들이 이루어나가는 역사도 또 그들이 영위하는 삶도 빛인 것이다. 빛은 사물에 앞서는 것이다. 나는 요즈음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한다. 스테인리스 스틸은 차갑다. 냉철하다. 그리고 순수하다. 나는 그 차갑고 단단함이 좋다. 도시적이며 현대적이고 지적이다. 나는 뜨거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차가운 금속을 사용한다. 우선 제작과정을 살펴보자. 우선 스테인레스 스틸 판재를 미러 가공한다. 미러 가공을 통하여 스테인리스 스틸은 더욱 차가운 평명과 투명함을 지닌 거울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것들을 오려내어 유닛을 만든다. 만들어진 유닛을 햄머링한다. 길고 지루한 시간이 흐른다.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반사되던 단단한 빛들은 햄머링 소리와 함께 깨지고 부서지며 빛을 산란시키기 시작한다. 드디어 빛이 춤을 추는 순간이다. 끊임없이 반복되는 순간이다. 지루한 시간을 보내고 서야 비로소 수천 개의 유닛들이 준비되어 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테인리스 스틸 유닛들은 나에게 있어서 하나의 안료이자 물감 덩어리인 것이다. 수 천 개의 그것들이 하나하나 캔버스 위에 부착되는 순간 차가운 쇠의 성질은 사라지고 뜨겁고 황홀한 일루젼이 된다. 타들어가는 석양이 그렇듯, 물질에서 이미지로 바뀌는 순간이다. 그래서 나의 작품은 본질적으로 회화이다. 스테인리스 스틸 유닛이 하나하나 캔버스에 부착되는 순간, 오랜 시간 잘 갈아진 먹물을 흠뻑 적신 붓으로 화선지 위에 일획을 그어 내리는 희열을 맛본다. 화선지 위의 먹이 발묵하듯 일획의 유닛들은 그어진다. 발묵한다. 그 농염함 속에 빛을, 빛을 담아낸다. *프로필사진 : 김영준 *출처 및 제공: 조은갤러리
더 보기
작품
전시

The Eternal Flame-Light

캔버스에 스테인리스 스틸

141 x 222cm , 2017

Ficus benjamin - Green to Light Light

캔버스에 철, 스테인드글라스 안료, 설치조명

89.5 x 145cm , 2015

강-빛

캔버스에 알루미늄 판재

97.2 x 162.2cm , 2006

저녁무렵-빛

캔버스에 스테인리스 스틸

112.5 x 162.5cm ,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