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2005년 골드스미스 대학교 Associate Research Studentship in Fine Art 전공 기타 2002년 중앙대학교 사진학 전공 석사 1998년 중앙대학교 사진학 전공 학사
이력
개인전
2025 ‘그대에게’,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오! 나여! 오! 삶이여!’, 을지로 OF, 서울, 한국
2019 ‘프레임(frame/~less)’, 291 photographs, 서울, 한국
2017 ‘사진전이후’, The gallery D, 쏠비치호텔 양양, 양양, 한국
‘사진전이후’, The gallery D, 델피노 골프 앤 리조트, 고성, 한국
‘대성면 재귀리(大成面 再歸里)’, 소노펠리체 로비 윈도우 갤러리, 홍천, 한국
‘대성면 재귀리(大成面 再歸里)’,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2015 ‘㎡’, 아뜰리에 에르메스, 서울, 한국
2013 ‘사진전 II’,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2010 ‘사진전’,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2008 ‘지루한 풍경 II’, Sarah Lee Artworks & Projects, 산타모니카, 미국
2007 ‘다섯 번째 여행’, 아르코 아트센터, 서울, 한국
‘다섯 번째 여행’, 쿤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독일
2004 ‘지루한 풍경’, 연구공간 수유 + 너머, 서울, 한국
2003 ‘지루한 풍경’, 제 1회 다음 작가상전, 인사 아트센터, 서울, 한국
2002 ‘~하는 사회’, 스페이스 사진, 서울, 한국
이인전
2021 ‘알려진 대로’, 누크 갤러리, 서울, 한국
주요 단체전
2023 ‘도둑맞은 편지’,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2022 ‘아니다 있고 있다’, 와이아트 갤러리, 서울, 한국 *
2020 ‘Here We are', 대구 수창청춘맨션, 대구, 한국
2019 ‘동시대미술의 최전선’, 523 쿤스트독, 부산, 한국
2018 ‘역할극: 신화 다시 쓰기’, 2018 대구사진비엔날레, 대구, 한국
2017 ‘균열: 세상을 보는 눈/ 영원을 향한 시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2016 ‘끝은 시작이다’, 원앤제이 플러스원, 서울, 한국
‘사진하다’,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 한국 *
2015 ‘Camera-Human 2’, 이공 갤러리, 대전, 한국
‘SOS’, 동덕여자대학교 예지관, 서울, 한국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14 서울사진축제’,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 독립공원, 서울, 한국 *
‘Korea Power’, Museum für Angewandte Kunst Frankfurt, 프랑크푸르트, 독일
‘점 점 점’, 동덕 아트센터, 서울, 한국
‘한국현대미술 시간의 풍경들’, 성남 아트센터, 성남, 한국
‘Hello, Stranger’, 시드니 한국문화원, 시드니, 호주
‘실락원’, 고은사진미술관, 부산, 한국
‘동강국제사진제’, 영월, 한국
‘Moments Unfolded’, 신세계 갤러리, 서울, 한국
‘Serrone’, 몬차 지오바니 비엔날레, 몬차, 이탈리아
‘Future Vision’, Li-space, 베이징, 중국
‘조각난 풍경’, 대구 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
‘행복’, 몽인 아트센터, 서울, 한국
‘Open 夢’, 몽인 아트센터, 서울, 한국
‘기억의 풍경’, 아르코 미술관, 서울, 한국
‘현대미술로 해석된 리얼리즘’, 경남 도립미술관, 창원, 한국
‘Chaotic Harmony’, 휴스턴 미술관, 휴스턴 · 산타바바라 미술관, 산타바바라, 미국
‘악동들 지금/여기’, 경기도 미술관, 안산, 한국
‘VISTAS 2009 인천국제디지털 아트페스티벌’, 인천, 한국
‘이륙’,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한국
‘신화의 전시-전자 테크놀로지’, 백남준 아트센터, 용인, 한국
‘자생적 시각의 확장-시네로망(cine-romans)과 서사(narrative)’, 쿤스트 독, 서울,한국
‘자생적 시각의 확장-시네로망(cine-romans)과 서사(narrative)’, 연수갤러리, 인천,한국
‘The Mark’, 마크 갤러리, 서울, 한국
‘An Ordinary Site’, 부띠끄 모나코, 서울, 한국
‘2008 젊은 모색’,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과천, 한국
‘창동 6기 오픈 스튜디오’, 국립현대미술관 창동 레지던시, 서울, 한국
‘창원미술제’, 창원 성산 아트홀, 창원, 한국
‘촉’, 워크룸, 서울, 한국
‘흔적’, 원앤제이 갤러리, 서울, 한국
‘이미지연대기’, 아르코 미술관, 서울, 한국
‘Correspondence’, 아트선재센터, 서울, 한국
‘Reality Crossings’, Kunsthalle Mannheim, 만하임, 독일
‘이상한 나침반’, 갤러리 눈, 서울, 한국
‘Round Trip’, 가나 포럼 스페이스, 서울, 한국
‘적절한 풍경’, 스페이스 바바, 서울, 한국
‘Emerging Korean Photographers’, 갤러리 베르크리히텐, 우메오, 스웨덴
‘Open Studios 2007’, 쿤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독일
‘Open Studios’, 쿤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독일
‘제28회 중앙미술대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한국
‘잃어버린 성궤를 찾아서’, 스페이스 바바, 서울, 한국
‘신소장품 200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한국
2005
2004
2003
‘씨티넷 아시아(아시아현대미술프로젝트) 2005’,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Untitled Nation’, Gana Beaubourg Gallery, 파리, 프랑스
‘Here & Now’, Chinese Contemporary Gallery, 런던, 영국
‘Goldsmiths Postgraduate 2005’, 골드 스미스 컬리지, 런던, 영국
‘청년 미술제’,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한국
‘현대사진의 흐름전’,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만화경’, 프로젝트 스페이스 집, 서울, 한국
수상경력
수상 및 레지던시
2016–17 4기 'D' 국제레지던시 프로그램 장기입주 작가
2011
Biennale Giovani Monza 2011, Premio Speciale Artist Prize
2008–10 몽인 아트스페이스 장기 입주 작가, 몽인 아트스페이스
2007–8 국립현대미술관 국제아티스트 스튜디오 프로그램
2006–7 베를린 쿤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레지던스 프로그램 한국 측 참여작가
2006
2002
소장
중앙미술대전 우수상 수상, 중앙일보사
제1회 다음작가상 수상, 박건희 문화재단
서울시립미술관 서서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한국
국립현대미술관, 한국
산타바바라 미술관, 미국
City of Monza Art Collection, 이탈리아
몽인 아트센터, 한국
현대캐피탈, 한국
분당 서울대병원, 한국
인천 자유 경제청, 한국
중앙일보사, 한국
박건희 문화재단, 한국
출판
2008
2003
The Tedious Landscape II (워크룸)
지루한 풍경 (박건희 문화 재단 발행)
작품의 주요 소장처로는 서울시립미술관 서서울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산타바바라 미술관, City of Monza Art Collection, 몽인아트센터, 박건희 문화재단 등이 있다.
1971년 출생 서울에서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