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2018 융복합 국제미술 기획전 《예술과 기술의 실험(E.A.T.): 또 다른 시작》
기간| 2018.05.26 - 2018.09.16
시간| 10:00 ~ 18:00
장소| 국립현대미술관서울관/서울
주소| 서울 종로구 소격동 165
휴관| 1월1일, 설날, 추석
관람료| 4,000원
전화번호| 02-3701-9500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로버트 라우센버그
백남준
앤디워홀
한스 하케
장 뒤뷔페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 			■ 전시구성
    
    서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선보이는 《예술과 기술의 실험(E.A.T.): 또 다른 시작 》은 예술과 과학 기술의 융합을 선구적으로 이끌어낸 그룹 E.A.T.(Experiments in Art and Technology)의 활동을 재조명한다. E.A.T.는 1966년, 예술가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버트 휘트먼, 벨 연구소 의 공학자 빌리 클뤼버 와 프레드 발트하우어가 결성한 비영리 단체로 예술과 과학기술, 나아가 산업의 영역 등 다양한 분야의 협업과 교류를 선도했다.
    
    ‘기계 시대의 끝’이라 명명되었을 만큼 새로운 기술적 시도가 범람했던 1960년대 사회적 상황은 더 많은 표현의 자유를 갈망했던 예술가들에게 또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E.A.T.의 활동은 예술가에게 예술적 표현 범주를 넓히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으며 공학자에게는 새로운 시각에서 기술을 연구하게 함으로써 기술의 진보를 가져왔다. 또한 서로 다른 분야의 경계를 끊임없이 실험했던 E.A.T.는 미술관이라는 제도적 공간을 넘어서, 예술의 영역 바깥으로 사회 참여적 프로젝트를 확대해 나갔다.
    
    이번 전시는 총 4개의 섹션으로 구성하였다. 장르 간 경계를 허물고 작가들 사이의 공동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던 1960년대를 ‘협업의 시대’라 지칭하여 E.A.T.가 탄생할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한다. 두 번째 섹션 ‘E.A.T.의 설립’은 E.A.T.가 비영리 단체로 출범하여 예술가와 공학자 간 체계적인 협업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협업의 범위와 영향력을 확장해 나간 과정을 소개한다. E.A.T.의 가능성을 대대적으로 보여준 실험의 장이자 퍼포먼스 프로젝트 《아홉 번의 밤: 연극과 공학》(1966)을 세 번째 섹션으로 구성하여 새로운 기술과 퍼포먼스 간 무대실험을 선보인다. 마지막 섹션으로 구성한 ‘확장된 상호작용’은 예술을 산업의 영역으로까지 확장한 펩시 파빌리온(1970) 건설과 예술을 사회 참여적 프로젝트로 발전시킨 《아웃사이드 아트 프로젝트》(1969~1971)를 포함하여, E.A.T.가 예술과 제도권의 경계를 넘나들며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고 미래를 예견했음을 보여준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를 이야기하며 국내에서는 예술과 기술의 융합과 관련된 프로젝트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번 전시는 50여 년 전 이러한 융합을 개척한 E.A.T.를 기리고, 이들의 활동을 되돌아보게 함으로써 오늘날 다학제적 연구와 실험에 영감을 제공할 것이다. E.A.T.는 ‘인간적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협업하며 독창적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이들의 끝없는 도전은 현대 기술이 가져다 준 일상의 변화와 새로운 세상을 그리는 능동적 인간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한다. 이러한 E.A.T.의 눈부신 업적을 통해, 예술과 기술이 상생하는 우리의 또 다른 시작을 기대한다.
    
    ■ 협업의 시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망명하기 시작하면서 예술의 주도권도 유럽에서 미국으로 옮겨가게 된다. 이때 유럽을 기점으로 시작된 미술가와 무용가의 협업처럼 장르 간 경계를 흐리는 실험적인 흐름 역시 자연스럽게 미국으로 전이된다. 예술가 로버트 라우센버그는 안무가 머스 커닝햄, 폴 테일러, 스티븐 팩스턴, 트리샤 브라운 등과 어울리며 퍼포먼스가 더해진 매체 실험을 이어나갔다. 그리고 존 케이지, 백남준 등 여러 장르의 예술가들은 즉흥적인 행위와 슬라이드 상영이 혼합된 새로운 기술의 실험극을 시도했다. 이처럼 1960년대는 그 어느 때보다 예술가들이 활발히 협업하고 교류한 시기였다. 또한, TV와 라디오가 대중에게 보급되면서 과학기술이 일상의 영역으로 보편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예술가와 과학자의 협업도 자연스럽게 등장했다. 노벨상 수상자를 8명이나 배출한 벨 연구소 소속 공학자 빌리 클뤼버는 스톡홀름 현대미술관 관장이었던 폰투스 훌텐과 어울리며 뉴욕의 예술가들과 협업했고 예술과 기술의 만남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1960년대의 실험 정신과 협업 정신이 깃든 장 팅겔리의 <뉴욕 찬가>(1960), 앤디 워홀의 <은빛 구름>(1966), 존 케이지의 <변주곡 V>(1965) 등과 같은 현대미술 작품들이 탄생했다.
    
    ■ E.A.T.의 설립
    1966년 9월, 예술가 로버트 라우센버그와 로버트 휘트먼, 벨 연구소의 공학자였던 빌리 클뤼버와 프레드 발트하우어는 비영리 단체인 E.A.T.를 설립했다. 이들은 뉴욕에서 활동하는 예술가와 공학자를 모아 예술과 기술 간의 협업을 통한 창작 활동을 시도했다. 모든 예술가에게 새로운 기술을 개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예술가와 공학자를 연결하여 기술적 도움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E.A.T.는 함께 활동할 예술가들과 공학자들을 모집했고, 6,000명이 넘는 예술가와 공학자가 회원으로 가입했다. E.A.T.의 활동은 기술에 대한 예술가의 지대한 관심을 불러 모았으며, E.A.T.는 더욱 견고한 협업을 이끌어 내기 위해 주기적으로 회의를 열고 그들의 활동을 전하는 소식지인 『E.A.T. 뉴스』를 발간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예술과 기술의 협업으로 탄생한 작품을 공모하여 일련의 전시들을 개최하고, 예술가와 공학자가 소통할 수 있는 레지던시 운영도 병행했다.
    
    ■ 아홉 번의 밤: 연극과 공학
    《아홉 번의 밤: 연극과 공학》은 E.A.T.의 활동 중 가장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총 10개의 퍼포먼스로 구성된 이 획기적 이벤트를 위해 10명의 예술가와 30명의 공학자가 대규모로 협업했다. 예술가와 공학자는 수개월 동안 공연에 사용할 새로운 기술과 특화된 장비를 개발하는 데 주력했다. 클뤼버는 예술가들의 발상으로부터 벨 연구소 공학자들이 기술의 활용과 관련하여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협업을 통해 상업적 편익도 얻을 수 있으리라 확신했다. 이러한 클뤼버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과학 기술 연구소였던 벨 연구소는 E.A.T.의 활동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예술가, 음악가뿐만 아니라 극장이라는 공간의 폐쇄성에 염증을 느낀 안무가와 무용수들도 무기고를 개조한 건물에서의 공연에 대거 참여했다. 비교적 홍보가 잘 된 덕분에 매일 1,500명이 넘는 관객이 공연장 아모리를 찾았다. 《아홉 번의 밤: 연극과 공학》(1966)은 현대무용, 순수예술, 미디어, 음악, 영화, 연극 등의 여러 장르를 수용하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새로운 예술의 맥락을 만든 시작점으로 간주할 수 있다. E.A.T.는 CCTV나 투사식 텔레비전이 공연을 위한 무대장치로 변형했고 움직임을 소리로 변환할 수 있는 도플러 소나 장치와 적외선 카메라를 극적 장치로 활용했다. 전혀 관련없는 것으로 여겨졌던 예술가와 공학자는 《아홉 번의 밤: 연극과 공학》을 통해 무모하지만, 획기적인 실험과 연구를 진행했다.
    
    ■ 확장된 상호작용
    시간이 지날수록 E.A.T.의 활동은 국제적 차원으로 확장되었고 다양한 분야로 관심을 넓혀갔다. 1968년 9월, E.A.T.는 예술가 로버트 브리어의 권유로 1970년 일본에서 개최될 오사카 만국박람회의 파빌리온을 기획하게 된다. 브리어와 로버트 휘트먼, 데이비드 튜더, 포레스트 마이어스를 중심으로 수십 명의 공학자, 예술가, 과학자, 건축가들이 펩시의 후원을 받아 새로운 개념의 건축물을 제작하는 데 몰입했다. E.A.T.는 파빌리온의 건설을 통해 산업계와 본격적인 협업을 추진하였다. 또한 《아웃사이드 아트 프로젝트》는 국가와 언어를 초월하여 예술과 기술의 협업, 그 이상의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활동이었다. 《아웃사이드 아트 프로젝트》는 교육, 에너지의 생산과 재분배, 환경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예술을 넘어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한 사회 참여적 활동에 가까웠다. 이들의 도전 중 일부는 재정적 한계나 사회적 제약으로 인해 실현될 수 없었지만 시대를 앞서 E.A.T.가 추구했던 모험은 5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열린 결말로서 유효하다.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