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맵은 문의사항 답변을 희망하는 회원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수집 개인정보 항목 : [필수] 회원 성함,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문의 신청에 따른 본인확인 및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 확보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문의 사항 처리종료 시점으로부터 6개월간 보관 후 파기합니다.
4. 동의 거부권리 안내 추가 : 위와 같은 개인정보 수입동의를 거부할 수있습니다.
다만 동의를 거부하는 경우 문의 신청이 제한 됩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해서 동의합니다. *
정보 수정 요청서
※ 작가,전시회 담당자가 아닌 경우 요청이 반려될 수 있습니다.
성함*
연락처*
이메일*
수정내용*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안내
아트맵은 문의사항 답변을 희망하는 회원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1. 수집 개인정보 항목 : [필수] 회원 성함, 전화번호 이메일주소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목적:문의 신청에 따른 본인확인 및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 확보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문의 사항 처리종료 시점으로부터 6개월간 보관 후 파기합니다.
4. 동의 거부권리 안내 추가 : 위와 같은 개인정보 수입동의를 거부할 수있습니다.
다만 동의를 거부하는 경우 문의 신청이 제한 됩니다.
오는 2022년 3월 15일(화)부터 2022년 4월 15일 (금)- 32일간 우제길 미술관에서는 봄기운이 만연한 2022년 첫 전시로 금보성의 기획초대전전 「한글민화」展을 개최한다. 작품수는 총15점이며 조선시대 민화가 가진 정신을 현대회화로 재조명한 작품을 선보인다.
금보성 작가의 작품은 현대미술에서 한 지류를 이루는 문자화(文字畵)의 맥을 잇고 있다. 특히 작가가 소재로 삼고 있는 문자는 한글이다. 원래 시집을 여러 권 출간한 시인이었던 작가는 시를 쓰던 중 한글의 자음과 모음의 형태에서 추상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글자에 색깔을 입히고 조형화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렇게 시작된 작가의 작품은 지금껏 한글을 통한 조형 작업을 매진하고 있다.
금보성 작가는 한글의 기하학적인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글자를 해체하고 추상적으로 재 구성한다. 입체주의가 대상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듯이, 그는 한글의 단어를 자음과 모음의 기 본 조형으로 해체하고 그것을 화면에 재구성하여 배치한다.
금보성 작가의 문자화는 주로 “사랑, 행복, 성공, 감사, 축복” 등의 긍정적인 에너지가 담긴 단어들을 선택하여 이 단어들의 자음과 모음을 윷놀이하듯이 던져 우연적으로 구성한 것이 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을 2차원적인 회화에 머물지 않고, 조각과 설치, 영상작업 등으로 확 장하고 있다. 한국 특유의 천지인의 접화 사상과 신명의 놀이문화를 기반으로 한 그의 한글 문자화가 오늘날 대립적 갈등과 코로나바이러스로 침체된 현대 사회에 백신의 역할이 되기 를 기대한다.
(출처 = 우제길미술관)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