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김예솔 : Willow
기간| 2022.07.01 - 2022.07.30
시간| 10:00 - 18:00
장소| OCI 미술관/서울
주소|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45-14
휴관| 일, 월, 공휴일
관람료| 무료
전화번호| 02-734-0440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김예솔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자세히 들어봐라, 세상 모든 것엔 영혼이 깃들어 있지.
나무와 하늘 그리고 물, 온 천지에. 마음을 열면 그 소리가 들릴 거야.”

– 애니메이션 中

인간의 기억은 이미 흘러간 과거와 맞닿아 있지만, 특별할 것 없는 사물을 통해 현재에 풀어지곤 한다. 포카혼타스가 버드나무 정령 윌로우의 조언에 따라 자연에 귀를 기울이듯, 김예솔은 어지러운 마음과 기억을 사물에 투영하며 소소한 공통점을 찾아낸다.
 
전시장의 몽당연필이 올라 본 적 없는 높이에 섰다. 온통 여백뿐인 청춘의 작가를 어떠한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하듯, 그의 글과 드로잉이 산지사방으로 흩어져 버릴까 높이 막고 서있다. 몽당연필이 자신의 몸을 갈아낼수록 작가의 오른손이 검게 물들고 서로의 감각에 서린 기억을 공유한다.
 
기억은 사실보다 해석에 가깝다. 그렇기에 기억은 내 안에 남은 것보다 그 순간을 함께했던 사물이 더 많이 지니고 있을지 모른다. 옳고 그름으로 판단되는 사실의 풍요 속에서 사물의 시야로 세상을 마주해보는 경험, 이는 미세하지만 분명한 감정의 동요를 일으킨다.

 

이영지(OCI미술관 큐레이터)

 

 

 

우리 중에 밀고자

 

 

사내가 초록 페인트 통을 업지른다
나는 붉은색이 없다
손목을 잘라야겠다
– 진은영, 「봄이 왔다」
 
1
순결한 자를 배반에 물들이는 배후에 대해 고백할 게 있다. 이들은 사물마저 불온한 것이라 믿게 만든다. 또 사물이란 도처에 있는 까닭에, 은폐 대신 현현하도록 종용한다면 인간을 시나브로 전락에 이끌어 갈 수 있다고 조근거린다. 누구도 사물이 ‘존재하’는 세계에 살고 있지 않다. 정확히 발음한다면 ‘말해진’ 것의 세계, 언어를 통해 이미 이해되고 이야기되었던 용도의 세계 속에 살고 있다. 편안한 신발은 신지 않은 것처럼 느껴지고 눈에 딱 맞는 안경은 그것을 쓴 채로 안경을 찾게 되듯, 용도에 복종하는 대상은 명령에 충실하면 충실할수록 그 순응을 알리바이로 이내 존재에서 멀어진다. 그러니 배후가 주선하는 일은, 그 쓰임을 사랑스럽게 이행하며 도구적 방식으로 눈앞에서 사라진 존재를 다시 꼬드겨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은폐와 부각을 둘러싼 비밀스러운 일로 세계가 결정된다. 회유로부터 우리는 머물던 처소가 아름답고 평온하기를 그만두고 불화와 반목으로 깨어나는 것을 목격한다. 이런 배반은 잠잠한 일상을 밀정이 암약하는 냉전으로 바꾸어 놓기 때문에 급진적이다.
 
독실한 이는 저어하겠지만, 서정시와 추상화가 탄압에 가두어지듯 때때로 붉은 꽃과 초록 풀만으로도 전복은 일어난다. 초목밖에 없는 풍경에 붉은색이 필요할 때, 그는 기꺼이 행인의 손목을 자르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예솔의 전시 어디에서 비명을 들을 수 없다 하더라도 체온이 똑같이 흐르는 그 비린내는 숨겨지지 않는다. 전시 ⟪Willow⟫의 모티프가 된 영화 ⟨포카혼타스⟩의 나무 정령 ‘윌로우’는 극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상 모든 것엔 영혼이 깃들어 있지. 땅과 하늘, 그리고 물, 온 천지. 마음을 열면 그 소리가 들릴 거야.” 그는 포카혼타스로 하여금 용도만으로 존재했던 원주민을 그 쓰임에서 탈각되도록 분투하게 한 배후다. 목소리 없던 것에 목소리를 부여하는 일. 그것은 이미 존재하는 실재를 개념화하기보다 하나의 실재를 창조하는 것이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안식일을 지니지 않고서도, 이런 까닭으로 예술은 외람히 ‘창조’라는 낱말을 가까이 둔다. 그 배후 앞에서 김예솔은 지독히 성실하다.

 
2
배후는 치밀하다. 그는 배반을 숨기기 위해서 방관자나 관광객조차 사정이 있는 자로 바꾸어 놓는다. 혐의를 고발하려는 율사가 있다면 행인 모두에 대한 소를 제기해야 하기에 그는 오히려 위협받는다. 겁 많은 이는 인도와 차도를 진동하면서 행자와 시위대를 오간다. 그러나 낙차는 선동가가 투신하는 하방(下放)과 구분되지 않고, 오로지 합류된 메시지로만 드러난다. 혼란은 ⟨넘어가지 마시오⟩를 말미암았다. 통제보다 밟히길 요청하는 낮은 위치의 벨트, 자수로 놓은 통행금지 문구. 둘은 산책자를 회유의 과정도 없이 배반의 가담자로 만든다. 선을 넘고서야 글귀가 보이는 탓에 그는 이미 탈선에 동조한 채로 배신자가 되었음을 깨닫는다. 이미 공범이 된 상황에서 용의자는 반대편으로 돌아나가 스스로가 과실범이거나 희생자임을 고백하려 할 테지만, 반대편에 똑같은 형태로 뒤집혀 놓인 금지선을 또 한 번 넘어가야 하는 탓에 그는 결백을 입증할 길을 잃는다. 제가끔 우리는 날이 좋아서, 차가 끊겨서, 위치가 좁아서 애매한 사이의 선을 넘는다. 그럼에도 사물을 밀고할 수는 없다. 이만큼의 빌미가 제공되었으니 그 세계 바깥으로 나갈 때도 되었다.
 
⟨제단⟩에서 김예솔은 부재한다. 의자와 조각 사이를 오가는 목재는 조악한 드로잉과 높이를 지니지 못한 위상으로 작업물이길 벗어나 마치 사물처럼 제힘으로 인간 앞에 선다. 작가는 드로잉엔 의미가 없으며 알아보길 기대하지도 않는다고 전했다. 부재한 의도로 재현을 체념한 그는 대신 ‘현실의 가상’이 아닌 ‘가상의 현실’ 더 나아가 새 정부의 입안자로 나선다. 그는 창작이 아니라 새 질서가 펼쳐질 세계의 창조에 헌신한다. 그로써 작품이 지닌 기품은 작가의 예술성이 아닌 현실의 다른 물건과 동등한 지위에 합류했다. 다시 말해서 작품은 작품답지 않은 작품으로서 ‘작품’의 개념을 무너뜨리면서, 작품을 ‘작품’이라는 개념으로부터 해방한다. 이때 반대로 사물은 그 해방된 작품의 개념에 합류한다. 작품 자신의 부각보다 은폐되었던 동등한 다른 물건을 작품에 위치에 합류시키는 것이다. 배열된 기물이, 앉아 바라보도록 만드는 벽엔 프로젝터의 투명한 빛을 제외하고 식별 가능한 대상이 없다. 작품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시간 이후 작품을 제외한 모든 벽은 저마다 영혼과 발음을 갖는다.
 
⟨제단⟩의 기물 속 드로잉과 눈 맞추기 위해서 인간은 무릎을 꿇어야 한다. 인간이 굴종해야만 볼 수 있는 전락의 상황은 어느 것도 재현하지 않겠다는 쓸모없음만을 겨우 목적으로 갖는다. 사물은 세계에서 가장 충실히 명령을 따르는 개체이자, 가장 많이 존재하는 환경이다. 현명한 몇 인간보다 물건을 세계에 맞서는 반동으로 구성하겠다는 일념에 필요한 것은 추락하는 인류다. 사물의 민주주의를 위해 인간은 비천한 자로, 그를 제외한 나머지는 고귀한 자리에 올라간다. ⟨몽당연필⟩은 쓸모없음의 화신처럼 등장했다. 인간은 몽당연필을 다시 명령에 복속고자 길이를 연장하려 했지만, 그는 무용을 자랑하듯 누구도 잡을 수 없도록 신체보다 더 긴 지지체로 쓸모에 저항한다. 그러나 사람이 이용할 수 없는 사물을 사람이 아닌 누군가는 이용한 것 같다. 그 높이보다 더 높은 곳에 누군가의 문장이 적혀있으니. 문장을 보기 위해 사람은 계단을 밟는 위태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읽기를 이행하기 위해 지지체로 연장된 신체는 이제 사물이 내리는 명령을 가장 충실히 따르는 개체이자, 가장 많이 존재하는 환경이다.
 
소박하게 사물에 영혼이 있다 믿으면서, 또 절박하게는 그들이 투쟁에 나선다고 일컬으면서 이 전선에 고통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을 테다. 대신, 떨어져 다친 이들은 서로 손을 잡을 줄 안다. 용도의 안락함에서 찢어져 나올 때 그는 떨어지면서 다른 이의 손을 잡는다. 사전의 요약을 물건은 환영하지 않는다. 요약은 오직 그 요약에 포함되는 데 성공한 것(유용)과 실패한 것(무용)을 분리하는 일이다. ⟨짓다⟩는 오직 사물의 방식으로, 그러니까 눈앞에 없음에서 벗어나 존재를 확정하는 방식으로 폐기된 나머지를 요약한다. 수만 장의 종이를 찢고 그것을 체결한 조각은, 종이 내부의 지식과 이야기를 부피와 무게로 갈음한다. 이때 부피와 무게는 오직 그것이 차지하는 수량, 즉 존재를 표기하는 방식이다. 손을 붙잡은 서로의 배면엔 인간의 피와 동등한 가치를 지닐 금색 안료를 게워냈다. 용도를 배출해낸 몸이 더 이상 빛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체온 없는 액체는 서로의 손바닥을 타고 흐르며 단단해진다. 태양이 영원히 뜨거운 상태로 죽어가듯 그들은 영원히 견고한 상태로 슬픔과 고통을 이겨낸다.
 
아직 용도로 남은 사물과 인간, 그 구분되지 않는 거리로 불현듯 역심을 품은 화염병이 반원을 긋고 잠기어간다. 현명한 이는 고개를 젓겠지만, 화염병은 진압자를 공격하기보다 그가 다가오지 못하도록 간격을 확보하기 위해 투척 되곤 했다. 불붙은 용기가 중개하는 것은 상반된 두 면이 만나지 않도록 하는 것, 즉 평행의 공간이었다. 인간을 취하게 하는 것은 술병일지 모르나 예술을 비틀거리게 하는 것은 수평자니 마땅히 휘발의 용액은 녹색 수평기에 담긴다. 사물과 예술은 그 취기로 세계에 시비를 걸었다. 그러니 ⟨/O/⟩가 측정하고 생성하는 평행이란 평온과 불온의 거리다. 정복이 아니라 물러나지 않기 위한 몸짓은 미약하게 보인다. 그럼에도 그것만이 투쟁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린다. 예술과 삶의 일치. 우리는 어디엔가 이렇게 적었다. 그러나 어느 시기보다 예술이 가장 많은 시대에도 구호는 소문이 되었고, 예술이 정치가 된다면 외려 예술은 사라져버릴 것이라는 협박만이 남는다. 야박하게 굴 수 없다. 화염병으로 던져진 ⟨/O/⟩는 인간이 물러난 자리에 지속된 다툼의 자리를 되찾는다.
 
3
사물이 전시를 독점하고 있지만, ⟪Willow⟫는 사물만을 특권화한 전시는 아니다. 사물이 지닌 역능의 입증은 비인간 전체를 향해 나아간다. ‘윌로우’가 원주민보다 “땅과 하늘, 그리고 물, 온 천지”를 앞세운 이유는 그것이 곧 인간에게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인간이 사물에 감정이나 자의식, 영혼이 부재한다는 신념을 갖게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그러나 자연을 포함한 사물과의 유대가 끊어지고 인간이 그들을 지배하면서, 비인간에 대한 지배는 곧 인간에 대한 차별로 확장되었다. 비인간을 향한 행동에 관한 한 모든 인간은 나치와 다르지 않다. 반대로 사물이 응당 기대되는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고서 그들과 교류하거나 교착해야만 하는 상황은 인간을 더욱 깨어있게 만든다. 그러나 결국 이 모든 것을 인간의 교훈으로는 삼지 않으려 한다. 어디까지나 그 깨어있음 사이 사물이 이 다툼에서 이기기 위해서 사람은 전락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무의미한 것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탈바꿈한 내 작업들은 사실 내 분신이고 내 스스로에게 나는 흠집을 내고 있는 것일까?” 김예솔은 가장 먼저 눈앞에 없는 사람이 되어 간다.
순결한 자를 배반에 물들이는 배후에 대해 고백할 게 있다. 나도 토로하지 않을 수 없다. 배후에게 끝까지 사람으로 남아 있지 말자는 말을 들었다. 나도 고개를 끄덕여 그들과 한패가 되기로 했다. 쉬잇, 그들이 복도를 지나고 있다.

 
 

조재연 (미술비평가)



(출처 = oci미술관)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