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그대로 박생광
Exhibition Poster
기간| 2022.05.31 - 2022.07.24
시간| 09:00 - 18:00
장소| 강릉시립미술관/강원
주소| 강원 강릉시 교동 904-14
휴관|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 평일이 휴관, 1월1일, 설날, 추석 당일
관람료| 무료
전화번호| 033-640-4271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박생광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강릉시립미술관 특별전시
그대로 박생광展


한국 현대 채색화의 거장, 박생광(朴生光, 1904~1985)의 작품을 강릉시립미술관 특별전시 《그대로 박생광》展에서 만나본다. 박생광은 1980년대에 채색화의 독자적 양식을 구축하며 단색화가 주류였던 기존의 한국 미술계에서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였다. 그는 전통문화의 이미지들, 전통회화의 소재와 형식을 재해석하였으며, 특히 민간신앙의 주제를 다루면서 전통문화의 근원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의 그림은 오방색을 응용한 강렬한 색채와 주홍색의 굵은 윤곽선, 대담한 구도와 같은 특유의 양식을 통해 작가의 호를 딴 ‘그대로 화풍’으로 일컬어졌다. 이 과정에서 그는 민화의 물감과 단청의 안료, 그 밖의 재료들을 조합하는 새로운 채색 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박생광의 이러한 그림은 단절된 채색화의 전통을 주체적으로 계승하는 것이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박생광의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회화를 살펴볼 수 있다. 1960년대부터 ‘내고(乃古)’로 불린 그는 1977년부터 아호를 순한글인 ‘그대로’로 바꾸었다. 이러한 변화는 그가 한국적 그림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으로, 소재를 뛰어넘어 정신적 차원에서 작품세계를 아우르고자 했던 그의 의지를 보여준다. 1920~1930년대와 1970년대 중반에 일본에서 활동한 그는 다양한 조형적 형식들을 실험하는 과정에서 왜색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그러나 결국 1980년대 그의 그림은 작가 고유의 조형적 특징과 궁극적인 작품세계를 인정받으며 새로운 한국화의 길을 열었다는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이처럼 박생광은 여든을 앞둔 고령의 시기에 독자적인 양식을 만들었을 뿐 아니라, 1985년의 서거 이전 5년 동안 대작들을 쏟아낸 독특한 이력을 보여준다. 그는 말년에 후두암 선고를 받고 나서도 800호짜리 대형 그림을 하루 열 시간 이상 그렸으며, 역사와 전통, 민족의 정서를 구현하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강릉시립미술관 특별전시 《그대로 박생광》展은 ‘Ⅰ. 전통문화의 형상들: 새로운 한국화’, ‘Ⅱ. 전통문화의 근원: 주술과 신앙’, ‘Ⅲ. 그대로 박생광의 있는 그대로: 드로잉’의 세 섹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통문화의 근원과 민족의 정신을 구현한 박생광의 작품세계를 만나보는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역사를 떠난 민족은 없다. 전통을 떠난 민족도 없다. 모든 민족의식은 그 민족의 전통 위에 있다.” - 박생광(1985.07.10.)

(출처 = 강릉시립미술관)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