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2022.07.19 - 2022.11.20 |
---|---|
시간| | 10:00 - 18:00 |
장소| | 광주시립미술관/광주 |
주소| | 광주 북구 운암동 164 |
휴관| | 월요일, 1월1일, 추석·설날 당일 |
관람료| | 무료 |
전화번호| | 062-613-7100 |
사이트|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작가| |
|
정보수정요청
![]() ![]() ![]() |
전시정보
장소 : 시립미술관 본관 1층 로비 작품수 : 사진, 영상, 각종 아카이브(사진, 도면, 신문 등) 기획의도 : 1992년 8월 1일 공립미술관 최초로 설립된 광주시립미술관은 올해 개관 30주년을 맞이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 30년의 역사≫는 광주시립미술관의 30여년 동안 활동한 개략적인 발자취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아카이브 전시이다. 이번 전시는 광주시립미술관의 30여년의 역사를 연혁, 전시, 교육, 창작지원, 분관 등의 5개 활동 분야로 분류, 전시하여 미술관의 다양한 활동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1992년 미술관 건립부터 2021년 최근의 자료 전시를 통해 광주시립미술관의 역할과 활동의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하고자 전시를 기획하였다. 전시내용 : 광주시립미술관은 1992년 8월 1일 전국 공립미술관으로 처음 개관한 이후 지금까지 전시, 소장품, 교육, 작가지원, 각종 문화행사 개최 등 한국 및 지역을 대표하는 미술관으로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광주시립미술관의 역사를 기록한 ≪광주시립미술관 30년의 역사≫는 미술관이 30여년 동안 활동한 개략적인 발자취가 고스란히 담겨있는 기록의 전시이다. 전시 범위는 1992년 광주시립미술관 개관부터 2021년까지의 광주시립미술관 역사 자료를 선보였다. 이러한 내용의 아카이브 전시를 통해 광주시립미술관의 다양한 활동과 역사를 정리하고 기록하고자 하였다. 이번 전시는 광주시립미술관의 30주년을 맞아 기획한 미술관의 활동과 역할을 알아보는 미술관 역사 전시이다. 주제는 미술관 30년의 역사를 연혁, 전시, 교육, 창작지원, 분관 등의 5개 분야로 분류하였고, 시립미술관의 방대한 활동 내용 중 중요한 사건을 선별하여 전시하였다. 이러한 미술관의 역사를 살펴보는 전시를 통해 시민들은 광주시립미술관의 다양한 이야기를 보고 들을 수 있으며, 미술관의 활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2022년 하반기에 개최되는 광주시립미술관 30주년 기념 ≪이건희컬렉션전≫, ≪권진규전≫ 기간에 선보여 미술관을 찾는 많은 관람객이 미술관 30년의 역사와 활동을 보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관의 역사를 기록한 아카이브 전시개최를 통해 광주시립미술관의 30여년의 주요활동을 되짚어 보면서, 미술관의 현재를 파악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처 = 광주시립미술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