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정경빈 : 다리없는산책
기간| 2022.09.07 - 2022.09.18
시간| 화-금 13:00 - 19:00 주말 13:00 - 18:00
장소| 상업화랑 을지로/서울
주소| 서울 중구 을지로3가 240-3
휴관|
관람료| 무료
전화번호| 010-9430-3585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정경빈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정경빈은 그녀가 과거에 보았던 풍경을 그린다. 그 풍경은 미국 여행 중 비행기 창문 아래로 내려다보았던 땅에서부터 브루클린 식물원에서 마주친 풀, 어느 골목길 담벼락 곁에 피어있던 장미, 산을 오르다 발견한 계곡의 바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작가가 사진이나 영상과 같은 여타 기록 매체의 도움을 받지 않고 기억에만 의존한 채 이러한 자연물을 회화로 그려낸다는 점이다. 전시 제목인 <다리 없는 산책>은 머릿속으로만 오롯이 과거의 풍경을 다시 한번 거니는 바로 그 특유의 작업 과정을 일컫는다.



작가는 현실 속에서 마주한 자연물을 보며 종종 사람의 신체를 떠올리거나 혹은 그것의 젠더를 상상한다. 풀어헤친 머리카락 같은 풀, 희고 단단하고 긴 갈비뼈처럼 자라난 나무, 소녀의 등처럼 생긴 바위. 그로 인해 작가의 회화 역시 풍경의 객관적 재현보다는 그러한 관찰을 예민하게 담아내는 것을 좀 더 염두에 두는듯하다. 가령 포천의 한 채석장을 다녀온 뒤 그린<포천 22: 여자바위 어깨 (Pocheon22: The She- Shoulder-Rock)>는 우리가 흔히 마주하는 채석장의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인다. 흰색, 보라색, 갈색 등 여러 색조의 단단하고 강한 선이 수없이 겹쳐져 돌의 표면을 이루고, 그 돌들 사이로 녹색의 선이 물줄기처럼 흘러내린다. 메마르고 거친 회색, 날카롭게 깨진 모서리들이 만드는 어두운 직선의 물성은 이 화면에서 찾을 수 없다. 한편, 실제의 암벽보다 턱없이 작은 캔버스 역시 그 규모의 변화를 통해 또 다른 감각을 환기하려 한다.

기억만으로 재구성한 화면, 신체와 물성에 대한 집요한 탐색,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정동 (affect)의 효과는 작가의 지속적인 관심사였다. 가령 2020년의 전시 <섀도(Shadow)>(인스턴트 루프, 2020)에서 갤러리의 새벽을 가득 채웠던 녹색의 캔버스들은, 공간에 들어선 관객의 신체가 캔버스를 맞닥뜨렸을 때 발생하는 정동의 효과를 고심하며 만든 작업이었다. 그리고 그 회화들 역시 이번 전시의 작업과 마찬가지로 기억에만 의존하여 그려졌다. 한편, 2년 전의 전시와 비교했을 때 <다리 없는 산책>에서만 두드러지는 특징도 분명 존재한다. 작가가 과거에 경험한 시공간을 회화로 그려내는 과정을 "산책"으로 명명하며, 자신의 작업 과정에 또 다른"시간성"을 적극적으로 부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그녀에게 작업의 과정은 회화를 만드는 과정 이상의 어떤 "시간적 경험"이며, 그 경험은 캔버스 위의 결과물만큼이나 큰 중요성을 지닌다. 그렇다면 정경민의 작업을 단순히 회화의 맥락 안에서 "추상"으로 해석하거나, 실재 세계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현한 결과로서의 "이미지"라고만 설명하는 것은 다소 불완전해 보인다. 아마도 이 설명에서 놓치고 있는 것은, 산책 자체에 대한 물음일 것이다. 다리 없는 산책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그 산책은 현실에서 겪었던 과거의 산책과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우리는 외부의 풍경을 기록하기 위한 매체로 흔히 사진을 사용하곤 한다. 사진을 촬영하는 순간, 고정된 시점에서 바라본 외부 세계의 상은 카메라 안으로 고스란히 옮겨진다. 또한 각각의 사진은"하나 다음 또 하나"의 원리를 따라 순서대로, 서로를 침범하지 않은 채 저장된다. 하지만 작가의 신체는 그와는 전혀 다른 원리로 작동한다. 그녀의 기억 속에서, 과거에 경험했던 하나의 산책은 그녀가 기억하는 또 다른 경험과 겹쳐지고, 결합한다. (이러한 일이 벌어지는 기억의 공간이란 원할 때 필요한 것을 쉽게 꺼내었다가 넣을 수 있는 단단한 서랍이기보다는, 오히려 작가가 언젠가 언급했던 "감아놓은 붕대"처럼 임시적이고 허술한, 심지어 어떤 물질은 그 사이를 투과할 수도 있는 연약한 직물에 가까울 것이다.) 작가의 다리 없는 산책은 그렇다면 여러 종류의 땅과 자연물, 사람, 사물들이 겹쳐진 독특한 시공간을 거니는 경험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작가의 회화를 마주한 관객은 때때로 이것이 어떤 풍경과 어떤 사물을 다루고 있는지 특정할 수 없는 상황에 놓이곤 한다. 가령 <서울 21: 서울의 초록 (Seoul21: Green of Seoul)>의 경우, 실제 그녀의 산책이 어느 장소에서 일어났으며 그 회화가 어떤 자연물을 중심 소재로 삼고 있는지 알만한 단서가 거의 없다. 짙은 녹색을 띤 삼각형 형태가 화면의 중심을 채운 한 그림을 볼 때, 어떤 이는 그 녹색의 면을 산이라 생각할 수도 있고, 어떤 이는 담벼락에 자라는 식물이라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이를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한 감상이라 볼 수는 없다. 오히려, 하나의 원본을 특정하려는 시도는 무의미하다. 



그녀의 다리 없는 산책은 단일한 종, 단선적시간, 단하나의 결정적 순간, 익숙한 물성과 규모의 감각을 무너뜨리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이 산책을 함께하는 방법을 탐색하는 것은 이제 전시장이라는 또 다른 시공간을 얻게된 관객의 몫이다.



산책을 산책하기 

글: 박가은 


(출처 = 상업화랑)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