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정보
장소 : 제1전시장A - 세상과의 소통 예술 작품의 가치는 세상과 소통할 때 예술 본연의 가치로써 힘을 발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미술작가의 역량을 강화하고 수도권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자, 서울 인사동 제주갤러리 운영과 수도권 레지던시(Residency) 파견 사업을 진행한다. 레지던시 활동 장소는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한 ‘가나아트파크 2 아뜰리에’이다. 레지던시 운영 사업은 작가에게 창작 공간 지원, 작품 활동에 도움이 되고 창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활동 참여 기회부여 및 다양한 미술관계자들과의 교류의 장 마련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작가의 입장에서 본다면 레지던시 기간 동안 안정된 작업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품 활동을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자신만의 정체성을 실험하고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지점이다. 2022년 첫 공모에 선정된 작가는 문은주 · 정승용 · 현덕식이다. 이번 전시는 세 작가가 레지던시 기간 동안 작업한 성과를 관객과 공유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참여 작가들은 개개인의 철학과 깊이 있는 고민이 담긴 작업 여정을 회화, 설치, 영상 등 다양한 조형 언어로 선보인다. 문은주 작가는 온라인에서 대량으로 순환되고 있는 이미지를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재가공하는 작업을 한다. 특히, 온라인 문화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밈(meme)’과 ‘짤’은 작가의 필수적인 작업 요소이다. 작가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로써, 원본을 알 수 없는 이미지를 자신만의 기준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이미지의 ‘원본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익명에 의해 재생산된 이미지를 재조합하여 물질화 시킨 그녀의 작품은 일반적인 관념 너머를 바라볼 수 있는 관찰자이자 생산자의 시점으로써 작가 자신의 자유로운 표현의 장을 구현하고 있다. 정승용 작가는 사회구조의 형식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작품화한다. 특히, 그는 민주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 제주 4·3, 민간인 희생자 등과 같은 사회적 사건에 대한 작가와 관객과의 접점에 초점을 둔다. 해당 작업을 위해 작가는 디지털 게임에 사용되는 이미지를 차용하여 현대 사회의 사건과 현상을 모색한다. 작가에게 게임 이미지는 작품 자체이며 중요한 상징적 수단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가 디지털 게임 이미지를 방법론적으로 차용한 작품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현덕식 작가는 물질에 대한 본질성, 더 나아가 ‘나’라는 존재를 찾아가는 과정을 <유시도(流凘島)> 시리즈를 통해 표현한다. <유시도>는 얼음이 녹아서 흐르는 모습을 바다 위에 떠 있는 섬의 형상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작가는 겉모습은 변하지만, 그 본질은 변하지 않는 것, 즉 변하지 않는 내적인 본모습을 얼음이 물로 변해가는 가변적인 이미지인 <유시도> 시리즈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의 한계를 극대화해 궁극적으로 자아에 대한 성찰에 이르고자 하였다. (출처 = 인사아트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