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2025.04.11 - 2025.05.17 |
---|---|
시간| | 수-토 11:00-18:00 |
장소| | 오에이오에이 oaoa/서울 |
주소| | 서울 강남구 삼성로63길 32-11/1층 |
휴관| | 일, 월, 화, 공휴일 |
관람료| | 무료 |
전화번호| | 0262073211 |
사이트|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작가| |
안주은
|
정보수정요청
![]() ![]() ![]() |
전시정보
오에이오에이는 2025년 4월 11일부터 5월 17일까지 안주은 작가의 첫 개인전 《남을 것 What Remains》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생업을 위해 만들어진 도구나 구조물을 매개로 ‘생의 의지와 염원’에 주목해 온 그의 작품 세계를 조명한다. 작가는 기능을 다한 뒤에도 남아 있는 구조물과 도구들 속에 스며든 삶의 흔적을 포착하고, 이를 새로운 상상력으로 재구성하여 ‘살아가려는 흔적’의 물리적 증거로 삼는다. 그의 작업은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환경과 관계를 맺는 감각이 점차 희미해지는 오늘, 인간다움의 끈을 놓지 않으려는 본능적 염원을 환기한다. 작가가 포착한 작물 지지대, 그늘막, 리어카 등과 같은 대상은 대부분 본래의 용도를 다한 뒤 기능을 상실했거나, 자연의 순환 속에서 점차 해체되며 구조적인 흔적만 남은 것들이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 잔존이 아닌, 시간과 환경을 견디며 축적된 노동의 자취이자 세대를 거치며 지속된 생을 이어가려는 의지의 흔적이다. 작가는 이러한 구조물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유롭게 변형하고 구성하며, 그들이 놓였던 실제 상황과 무관하게 극적으로 연출된 배경 – 거센 바람과 강렬한 태양 등을 설정하여 쉽지 않은 삶의 여정을 은유하며, 작가가 대상에서 받은 인상과 의미를 더욱 부각시킨다. 작가는 이렇게 한철을 버티기 위해 세워졌던 구조물이나 쓰임을 다 한 도구들에서도, 세월이 스민 사찰이나 손때 묻은 유물에서 느껴지는 생의 염원과 같은 보편성을 발견하고, 그것이 과거와 접점을 이루며 어떻게 진화해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지를 탐색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학부 시절부터 탐구해 온 사물의 시간성과 그것을 둘러싼 관계를 기록한 신작회화 21점이 소개된다. 작가는 단순한 재현을 넘어, 시간이 남긴 흔적 위에 상상력을 더해 형상화하는 과정에 집중한다. 또한 도구나 구조물이 지닌 물리적 형태뿐만 아니라, 그것이 존재하게 된 배경과 시간에 따른 변화를 화면에 담아낸다. 이러한 접근은 작품의 재료와 표현 방식에서도 드러난다. 수성 유화물감의 얇고 가벼운 텍스처는 구조물들의 임시적이고 연약한 특성을 반영하고, 유기적이고 과감한 붓질로 구현된 주변 환경은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가상의 공간으로 재구성된다. 작가는 이를 통해 단순한 재현을 넘어 시간이 남긴 흔적과 기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다. 그의 작업은 우리가 점점 더 비물질적인 삶의 방식으로 옮겨가는 오늘날의 감각과도 묘하게 맞닿아 있다. 인공지능이 일상을 대체하고, 가상의 공간이 현실과 동등한 무게를 가지는 시대. 손으로 무언가를 만들고, 몸으로 환경과 관계를 맺는 행위는 점차 희미해지고 있지만, 인간은 여전히 본능적으로 자연과 접촉하길, 그리고 마음과 마음이 연결되는 감각을 놓치지 않길 바란다. 안주은의 작업은 이러한 인간다움-생의 염원이 그가 그려내는 사물들을 통해 우리 삶과 맞닿아 있음을 조용히 상기시킨다. 전시 제목 “남을 것”은 시간이 흐른 뒤에도 사물에 남아 이어지는 생의 의지와 염원을 비춘다. 작가는 사물에 내재된 시간성과 그에 깃든 감각을 통해, 손으로 만들고 몸으로 관계 맺는 인간 본연의 태도를 일깨운다. 무엇이 남아 우리를 이어가게 하는가,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남기게 될 것인가. 이 전시는 우리가 여전히 잊지 않고 감각해야 할 삶의 흔적들을 응시하게 하며, 그 흔적들이 다음 세대를 향해 어떻게 전해질 수 있을지를 사유하게 한다. 작가 소개 안주은(b.1999)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서양화전공을 졸업했고, 2024년부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에 재학중이다. 2022년 WWW SPACE에서의 단체전 《커미션일지》를 시작으로 《TOMATO》(챔버1965, 2023)과 《ㅇ-ㅇ-ㅇ》(갤러리조선, 2023)에 참여한 바 있다. (인스타그램: @dle-ggae) 오에이오에이oaoa 오에이오에이(oaoa)는 ordinary art original art의 첫 글자를 딴 이름으로, 일상의 보편적 경험이 작가의 고유한 예술적 정신과 공명하는 작품을 소개하는 공간이다. 오에이오에이는 작가의 내면이 직관적으로 표현된 작품에 주목하며, 예술작품을 가까이 접하고 교류할 수 있는 전시를 만들고, 일상에 침투하는 예술의 영향력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2년 9월 개관전 《이혜승 : 눈 감고 간다》 이후, 《이수진 : 일종의 평화》(2022), 《유해나 : 매일이 선물》(2023), 《김민수 : 익숙하고 낯선》(2023), 《김세연 : 흑백의 숲》(2023), 《최은경 : 발길 따라 유유히》(2023), 《호상근 표류기 2023: 새, 카트, 기후》(2023), 《이혜승 : 머무는 듯 흐르는》(2024), 《정재열 : set》(2024), 《이수진 : Still, Life, Manual》(2024), 《김민수 : 고요한 밤, 함께 부르는 노래》(2024)을 선보였다. *출처 및 제공 : OAOA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