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 2019.11.22 - 2019.12.22 |
---|---|
시간| | 10:00 ~ 18:00 |
장소| | 대전시립미술관/대전 |
주소| | 대전 서구 만년동 396 둔산대공원 |
휴관| | 1월1일, 설(당일), 추석(당일), 매주 월요일 (다만,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그 다음날) |
관람료| | 500원 |
전화번호| | 042-270-7370 |
사이트|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작가| |
|
정보수정요청
![]() ![]() ![]() |
전시정보
이동훈은 일제강점기의 역사와 굴절된 한국근현대미술에서 1945년 해방을 앞두고 대전공업학교에 교편을 잡으면서 대전에 정착하였다. 그리고 목가적인 농촌의 삶이 투영된 일상적인 풍경을 그려내며 후진 양성에 힘쓴 故이동훈 화백의 예술정신을 기리기 위한 <이동훈미술상>은 2003년에 제정되었다. <이동훈미술상>은 대전·충청지역을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교육자로서 한국근현대미술사에서 故이동훈 화백의 업적을 높이 평가하고, 대전미술의 발전을 위해 제정된 미술상이다. 올해 17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명실상부 한국을 대표하는 미술상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동훈미술상>은 ‘이동훈미술상 운영위원회’와 ‘중도일보사’가 주최로 심사위원회를 통해 수상작가를 선정하고 있으며 한국미술에 지대한 업적과 공헌을 한 원로작가에게 수여하는 본상과 대전·충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40, 50대 작가에게 수여하는 특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미술뿐만 아니라 대전미술에서 시대와 함께 격동기의 예술혼을 천착해 온 작가들을 새롭게 발굴하고 지원함으로서 <이동훈미술상>의 취지와 의미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전년도 수상작가의 작품을 미술관에서 전시함으로써 수상작가의 예술세계를 집중조명하며 <이동훈미술상>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민성식은 정형화된 물리적인 화면을 마치 항공사진을 찍듯이 긴장감이 넘치는 왜곡된 시점으로 화면을 분할하고 강한 색채대비와 더불어 공간, 세상, 차원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특한 현대회화의 세계를 펼치고 있다. 그리고 그 경계 어딘가에 존재하는 현대인들의 욕망을 상징하는 다양한 오브제들과 일상의 흔적을 화면에 숨겨놓듯이 배치하고 있다. 이 오브제들은 대부분 현실적인 일상을 떠나 자신만의 삶을 추구하는 여행에 모티브를 얻고 있다. 주로 낚시, 캠핑, 서핑, 오토바이, 스포츠카, 카누, 요트, 맥주, 목수의 집 등과 다양한 소품들이 화면에 등장한다. 민성식이 상상으로 만들어낸 공간에서는 사람이 등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예상치 못한 구석에 조금 전까지 실제 사람이 있었던 것처럼 다양한 일상의 사물과 현장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 일상의 사물들은 현대인들이 도시를 떠나지 못하고 안식처를 꿈꾸는 대체사물과 혼란스럽게 뒤 섞여 있다. 마치 현대인의 꿈과 욕망을 동시에 상징하는 사물들은 통해 그 경계에 숨겨져 있는 현실의 고뇌, 갈등 등 상호관계를 자신만의 관망자적인 시각으로 풀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