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독 안에 너를 넣으면 If I put you in the dark
기간| 2021.01.09 - 2021.01.25
시간| 월-일:13:00~19:00
장소| 탈영역우정국/서울
주소| 서울 마포구 창전동 390-11
휴관| 전시 및 행사 일정에 따라 수시로 변동
관람료| 무료
전화번호| 02-336-8553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강우혁
주현욱,함성주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소설의 주인공은 산속 마을 지인의 오래된 주택에서 잠시 지내던 어느 날 한밤중 퍼뜩 잠에서 깨어나, 누군가 멀리서 방울을 울리는, 미미하지만 분명한 소리를 듣는다. 이런 소리에 공포의 감정보다는 강한 호기심이 압도하고, 주인공은 바로 일어나 그 소리가 들리는 곳을 찾아간다. 산으로 이어지는 이 고택의 뒤뜰에는 오래 전 집과 함께 지어졌다던 사당이 있는데, 그 사당을 둘러싼 나무들 사이에서 소리가 들리고 있음을 알게 된다. 그 우거진 나무들을 비집고 들어가 보니 큰 돌 무더기가 쌓여 있었고 방울소리는 그 돌들 사이로 흘러나오고 있었다. 이틀 밤 연이어 들린 이 방울 소리의 정체를 알아내야만 한다고 생각한 주인공은 맞은편 저택에 사는 이웃과 함께 업자를 불러 큰 돌들을 치워보기로 한다.

--

이곳은 분명 잘 알던 숲길이다. 그래서 나무와 바위들이 어디에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알고 있는데, 밤이 된 이곳은 내가 어제도 (그제도) 봤던 그 풍경을 찾을 수 없다. 전혀 다른 얼굴을 하고는 나를 반가워하기도 하고 나를 위협하기도 한다. 나무들의 잔가지들을 찾아서 시선을 더듬어보는데 부분과 부분이 한 덩어리씩의 어둠으로 묶여버려서 도저히 파악할 수 없다. 어둠이 묶은 덩어리들은 커다란 수풀 뭉텅이들 같다가도 바람이 불자 흔들거리면서 낱장으로 흩어지기도 한다. 

그렇게 겹겹이 까맣게 쌓인 어둠의 덩어리들로 정체를 바꾸자 신기하게도 선명하게 보였던 낮의 숲에서는 느껴보지 못한 호기심이 내 발걸음을 자꾸만 더디게 만든다. 가만히 서서 큰 어둠 덩어리가 숨긴 공간의 디테일과 스케일을 확인해보고 싶어서 집요하게 응시해본다. 지금 나의 눈으로 도달할 수 없는 영역이 있다는 것이 참을 수 없는 것이다. 

비탈을 올라가 나무 기둥 쪽으로 붙어서 올려다보면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기둥까지 올라가는 길마저도 까맣게 쌓인 어둠 때문에 내가 갈 수 있는 곳 인지 정체를 알 수가 없다. 어둠에 익숙해지면 서서히 보이지 않던 것도 보이게 된다고 하지만 띄엄띄엄 환하게 켜진 가로등이 있는 이 숲길에서는 그렇지 않다.

나는 그래서 내 눈이 닿을 수 없는 곳에 대한 가능성을 차단하고 지금 보이는 수풀 덩어리들이 겹쳐진 까만 배경으로 생각할 것인지 보이지 않는 공간에 앉아있을 수도 있는 까마귀 같은 것을 상상해볼 것인지 고민해보기로 한다. 

✴

내가 한 살 때 돌아가신 외할아버지를 20년이 넘게 모셔두었던 공원묘지에 수해를 입은 여름이 있었다. 가족들과 찾은 그곳은 아수라였다. 계단식 묘지의 봉분들은 빗물에 아래로 쓸려 내려와 관들과 어지럽게 더미가 되어있었고 여기저기 아무렇게나 널브러진 비석과 석물들은 참담한 지경이었다. 계단식으로 봉분들이 차곡차곡 위치했었던 가지런한 묘지공원이 아니라 마치 하나의 커다란 봉분 아래 수십 개 관들이 휩쓸려 한꺼번에 매몰된 묘소의 모습이었다. 현장의 관계자들과 함께 여기저기 헤집고 다니면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분묘와 관을 찾는 유족들은 화를 내고 있거나 울고 있었고, 이 생경하고 기가 막힌 장면들을 앞에 두고 부서진 관들과 제 관을 벗어난 유골들은 어떻게 이전처럼 자기 자리를 찾아갈 것인가라는 질문에서부터 많은 의문점들이 머릿속을 채우고 있었다.

이런 것들이었다. 모든 관들이 제자리를 찾는다 해도 이전에 명절 때마다 찾아와 봉분과 비석에 했던 같은 인사를 할 수 있을까, 그것은 이전의 성묘와 같을 수 있을 것인가. 그렇다면 그 무덤 속에 묻힌 이들을 확인하는 것은 무덤 밖 묘비와 석물들에 대한 믿음일 뿐이었던 것인가. 무엇을 묻어두고 어디에 애도를 표해왔던 것인가….

 《독 안에 너를 넣으면》은 작가들과 이런 질문들을 서로 주고받으며 시작되었다. 그리고 땅 속에 있어야 할 것들이 경계를 넘어 밀려 나와 보이지 않았던―볼 수 없었던―이미지들이 출현한 이 낯설고 혼란스러운 상황은 이런 질문들과 함께 가시적인 것들에 대한 신뢰의 문제로 향한다. 우리는 이야기를 나누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보편적이라고 믿는 의지를 우리 스스로가 갖고 있으며 또 이를 합리화시키는 어떤 마술적인 힘 같은 것이 작동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하는 의구심을 갖게 되었고 나아가 이런 현상들에 대해 각자의 방식으로 변주해보거나 공격하고, 전복을 시도해보기로 한다. 

강우혁은 전시장을 무대로 ‘찔릴지도 모른다는 불안함’과 ‘금을 발견하는 행운’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놓고 관람객들에게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인지시키고 ‘행동하기’를 제안한다. 욕망하는 행위를 하면서도 언제 닥칠지 모르는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심리를 끊임없이 교차하도록 의도하여 그 사이 어느 지점에서 비가시적인 미래라는 시간에 대해 감각하고 상상해보기를 독려한다.  주현욱은 “공공”에게 치명적인, 그래서 모두가 공공으로부터 배제되기를 바라는 “모기”를 맥거핀삼아 프로세스 작업을 진행한다. 여름에 이어 두 번째 모드로 소개되는 이 작업은 하절기에는 보편적 무의식에 균열을 가하는 최초의 사건을 발생시켰고, 한 번 더 동절기모드로 반복됨으로써 합리적인 세계에서 탈구된 상태가 보편-타당한 진리를 획득 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함성주는 회화로 작가 주변에 일어난 해프닝들과 그 시간동안 훑고 지나온 시선의 움직임을 분절하여 기억을 마치 깜박이는 듯 나열한다. 핸드폰에서, 모니터에서 그리고 사건의 순간을 목격하는 작가의 눈으로부터 포착한 이미지들을 캔버스에 옮기면서 그것들은 재편집되는데 그 과정에서 팽창되거나 탈각되고 어디로 쓸려가며 늘어지기도 한다. 일견 수차례 환기를 시도하면서 왜곡된 듯 보이는 이미지들은 작가의 영역에서 결집되어 전유되면서 최초로 포착했던 그 순간보다 본질적인 이미지로 거듭났다고 할 수 있다. 

작품들은 일상이라고 믿는 것과 그 일상 기저의 볼 수 없는 세계, 그 경계를 넘실거리며 일어나는 사건들, 그리고 경계를 기준으로 이중적 구조를 가지는 가치체계에 대해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바라본다. 각자의 질문들을 해소하는 작가들의 이런 시선들이 교차하는 이 전시를 통해서 시각적 지각의 전환에 대한 사유의 시간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