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XHIBITION
전보경 개인전 : 로봇이 아닙니다
기간| 2021.04.01 - 2021.05.16
시간| 10:00-19:00 5월5일 휴관
장소| 대안공간루프/서울
주소| 서울 마포구 서교동 335-11
휴관| 신정, 구정, 추석 연휴
관람료| 무료
전화번호| 02-3141-1377
사이트| 홈페이지 바로가기
작가|
전보경
정보수정요청

전시정보


  • Zeros:오류의 동작
    2020 (출처 = 대안공간루프) 2채널 HD 비디오 13분 20초

  • Zeros:오류의 동작
    2020 (출처 = 대안공간루프) 2채널 HD 비디오 13분 20초

  • Zeros:오류의 동작
    2020 (출처 = 대안공간루프) 2채널 HD 비디오 13분 20초

  • I Swear, I AM Not a Robot
    2021 (출처 = 대안공간루프) 4채널 HD 비디오 23분 53초
  • 			1920년 체코의 프라하 국립극장에서 첫 선을 보인 연극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에는 인간을 닮은 인조인간 '로봇'이 세상에 처음 등장한다. 극 중 과학자 '로숨'은 개선된 인류를 창조해 신의 무용함을 증명하고자 한다. 로숨에 의해 탄생된 새로운 생명체 ‘로봇’은 대량 생산되어 노동, 전쟁 등 인간의 노동력을 완전히 대체한다. 신체의 노동으로부터 해방된 인류는 낙원을 꿈꿨지만 결국 스스로 만들어낸 진화된 로봇에 의해 멸망한다. 체코의 문학가 카렐 차페크에 의해 탄생된 '로봇'은 100년이 지난 현재, 상상 이상의 미래와 마주하고 있다.
    
    전보경은 ‘자동화 시대를 사는 우리는 자본가, 노동자 모두 기계에 점유되어 기계로부터 해방은 불가능해졌다’고 말한다. 개인전 ‹로봇이 아닙니다›는 ‘로봇이 반복 생산이라는 효율적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면, 인간은 무엇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것일까? 오히려 인간의 비효율성이 특별한 무엇이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작가는 인간의 소외된 노동과 노동을 위한 신체에서 미적 가치를 찾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현자의 돌, 2017›, ‹신사의 품격, 2018› 등에 등장하는 이발사, 전통과자 제과사, 전통 인형극사, 양장사는 신체의 노동, 손을 사용하는 수공인이다. 2대에 걸쳐, 혹은 40년 이상 가업으로 이어오고 있는 이들의 노동은 장인인 동시에 이제는 사라져가는 직업군이기도 하다.
    
    전보경은 기계에 의해 점유된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노동과 노동을 위한 신체의 움직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지 질문한다. 이번 전시는 생산적 노동을 위한 로봇의 일률적인 움직임과 그에 절대적으로 대비되는 무용가들의 신체를 이용한 ‘신체-감각-기술-(비)생산적 차원의 관계’ 연구이다.
    
    영상 작업 ‹Zeros: 오류의 동작›에는 4명의 무용가가 등장한다. 이들의 춤(혹은 움직임)은 자동차 생산공장에서 사용되는 로봇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한다. 작가는 로봇의 움직임을 관찰해 드로잉 한 후 그 드로잉을 무보(舞譜/score)로 제작한다. 무보를 전달받은 무용가들은 각자의 감각으로 안무를 구성한다. 생산적 노동에 최적화된 로봇팔은 곡선 드로잉, 직선 드로잉, 텍스트 등 인간의 비생산적인 움직임으로 재탄생된다.
    
    신작 ‹I Swear, I Am Not a Robot›은 ‹Zeros: 오류의 동작›의 연작으로 로봇의 생산 움직임을 화살표로 단순화시킨 후 4명의 무용가가 각 화살표의 길이, 뱡향, 회전에 따라 자신의 신체 관절을 이용해 규칙적인 움직임을 만든 영상 작업이다. 이 작업은 ‘주어진 코드를 무한하게 복사해 일률적으로 반복 행위하는 로봇과 달리 인간은 주어진 정보를 어떻게 해석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됐다. 화살표로 짜여진 코드는 각 무용가에겐 하나의 규칙이 되지만, 그 규칙들은 무용가 저마다의 상상력과 신체, 리듬에 따라 독자적인 움직임을 생성하게 된다.
    
    전보경은 4명의 무용가의 안무로 짜여진 이 영상 작업에 ‘무용한 신체’라는 복수의 의미를 부여한다. 하나는 기계적이고 일률적인 로봇에 비해 더 이상 생산적이지 못한 인간의 무용(無用/useless) 함, 또 하나는 능동적인 몸짓으로 예술하는 인간의 무용(舞踊/dance)함이다. 기계를 이용한 효율적인 생산은 테일러리즘부터 4차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역으로 인간의 신체를 지배하고 획일화시켰으며, 역설적으로 무기력하게 만들었다. 인간은 작업 속 영상과 같이 주어진 틀을 정확히 수행하지 못하고 엇박자를 생성하며, 이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한다. 전보경은 로봇과 다르게 질서를 파괴시키고 주체적인 위치로 나아가게 하는 신체를 ‘인간의 감각’으로 본다. 작가는 무용한 신체의 움직임에 기계적으로 나열되는 텍스트 작업 ‹Prove Yourself›를 병치시켜 기계와 인간이 혼종 된 새로운 리듬을 제시한다. 영상 설치작업 ‹머리, 어깨, 무릎, 발› 은 로봇팔이 6개의 축으로 만들어낸 움직임(회전, 좌우, 상하)을 화살표로 변환시킨 무보이다. 영상 속 무보는 ‹I Swear, I Am Not a Robot›에서 무용가들에게 주어진 것과 동일하다. 함께 설치된 4개의 A4 용지 텍스트에는 각 무용가가 자신의 방법으로 화살표를 어떻게 해석했는지 적혀있다.
    
    연극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의 과학자 로숨과 그의 아들이 발명한 화학물질은 ‘인간에게 무조건 복종하고 모든 육체적 노동을 대신해줄 새로운 생명체’였다. 인간은 자본가여야 했고, 모든 고된 노동은 노예화된 로봇이 대신하게 했다. 인간과 로봇의 특정된 차이는 ‘감정’이었는데, 로봇에게 감정을 주입하자 그들은 점점 노동을 거부한다. 노동을 싫어하게 된, 감정이 있는 이 로봇들은 명령자 인간을 하나, 둘 죽이고 결국 세계를 정복한다. 로봇들은 노동하는 단 한 명의 인간 ‘건축가 알귀스트’만 유일하게 살려둔다. 인간의 해방을 위해 고안된 기계는 현재 인간 이상의 생명체로 발전하고 있다. 앞으로 인간은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을까.
    
    글: 이선미
    
    전보경(b. 1979)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프랫 인스티튜트에서 뉴폼으로 석사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서양화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아직 쓰여지지 않은 소곡, 수림아트센터, 2020›, ‹Again, We Will Go Into the Darkness, 트레져힐 아티스트 빌리지, 2019›, ‹현자의 돌, 아트스페이스 휴, 2018› 등이 있으며, ‹모호하지만 빛나는 소우주, 단원미술관, 2020›, ‹스테레오비젼, 서소문 성지역사 박물관, 2020›, ‹사회적 조각을 위한 방법 연구, 아마도 예술공간, 2019›, ‹전환상상, 우란문화재단, 2019›, ‹유휴공간프로젝트, 서울시립 북서울 미술관, 2017›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금천예술공장,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인천아트플랫폼, 테미예술창작센터, 대만 타이페이 아티스트 빌리지, 아르헨티나 프로젝토 에이스 피랄 등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입주작가로 활동했다.
    
    안무: 신혜진
    퍼포먼스: 신혜진, 이민진, 전보람, 정채민
    
    
    (출처 = 대안공간루프)			
    ※ 아트맵에 등록된 이미지와 글의 저작권은 각 작가와 필자에게 있습니다.
    팸플릿 신청
    *신청 내역은 마이페이지 - 팸플릿 신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부 이상 신청시 상단의 고객센터로 문의 바랍니다.
    확인
    공유하기
    Naver Facebook Kakao story URL 복사